오늘은 웹 표준에 대하여 조금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4에 대하여 조금 더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정리를 해드리는 것입니다. 블로그 방문자를 늘리는 글이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방문자를 늘리는 방법 중에 하나 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4를 읽기 전에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포털 블로그나 설치 형 블로그 모두 기본적인 웹 표준을 지키고 있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것입니다.
* 마케팅을 하는 상업 블로그를 중심으로 내용을 맞추기 때문에 개인 블로그의 상황과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1] 네이버 키워드 상단 노출의 허와 실
2.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2] 다음 뷰의 활용
3.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3] 파워 블로그로 보이게 하는 커뮤니티 법
4.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4] 웹 접근 성을 활용하여 검색에 유리한 블로그 만들기
5.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5] 네이버 오픈 캐스트를 이용하자
http://chunchu.tistory.com/145
6.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6] - 글 감의 저장으로 다양한 글을 쓰자
http://chunchu.tistory.com/175
7.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7] - 포스팅 이미지 관리[남들과는 다른 이미지 생성하자
http://chunchu.tistory.com/182
8.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8]- 구독자가 늘어나면 블로그도 활성화된다.
번 외 편 들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번 외 편 1] 네이버 키워드 상단에 노출하는 법
http://chunchu.tistory.com/115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번 외 편 2] 내가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이유
http://chunchu.tistory.com/157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번 외 편 3] 블로그 마케팅에 관하여
http://chunchu.tistory.com/189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번 외 편 4] 네이버 오픈 캐스트를 활용하기 집중 편
http://chunchu.tistory.com/226
블로그 운영 잘하는 법 [번 외 편 5]- 다음 뷰 활용하기 집중 편
오늘은 이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 일단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시리즈를 다시 발행하여 순서대로 보실 수 있게 해 놓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이미지를 안 올리고 싶었지만 검색 페이지나 다음 뷰 페이지 때문에 하나만 올립니다.
웹 표준은 무엇인가
간단하게 정리를 하면 월드 와이드 웹(www)의 공식적인 표준이나 규격을 제시하는 것이며 사용성과 접근성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등에 대한 표준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웹 디자인과 개발에서 접근성과 시맨틱 HTML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복잡하고 어렵게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는데 웹관리를 매우 오랫동안 해온 제 입장에서는 다시 기본으로의 회기입니다.
즉 웹 표준을 주창하고 진행하는 세력은 바로 제 윗 세대의 월드와이드 웹 세대입니다. 그들이 만들고 키워온 월드 와이드 웹이 거대하게 발전을 하면서 원하는 방향과는 다른 반대로 흘러가는 것을 바로잡기 위한 시스템이 웹 표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웹 생성의 시대와 비표준의 시대, 그리고 표준화의 시대를 모두 격은 웹 개발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6년 경에 홈페이지를 처음 만들 때는 지금과는 매우 다른 상황이었습니다. 보이는 모습이나 속도는 천지차이지만 달라지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그 당시와 즉 문서의 기본적인‘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형식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웹 표준은 이 달라지지 않는 것에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원하는 경우 W3C 표준 코딩 기준을 100% 만족하는 문서(디자인 된 홈 페이지 인덱스를 기준으로)를 한번에 제작이 가능합니다.” 문제는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약간 규격을 무시하는 경우도 생기기는 합니다.
- 웹표준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이라고 이의 제기는 말아주십시오.
W3C의 웹표준 권고안은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인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블로그와 웹 표준
블로그와 웹 표준은 거의 같은 말로 적용이 됩니다.
-
디자인과 웹문서의 분리 - 블로그 스킨을 한번에 적용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
기본 메뉴 - 기본으로 제공되는 메뉴의 경우 목록으로 인식을 하여 보다 빠르게 분기를 줍니다.
-
복잡한 블로그라고 결국은 하나의 웹페이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기본적인 스킨의 코딩이 웹 표준을 지켜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
웹 표준을 가장 잘 지긴 웹 문서의 나열이 블로그이다.
블로그와 웹 표준, 웹 접근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검색엔진이나 검색 로봇과 같은 프로그램은 결국 웹 페이지를 찾아다니면서 DB화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검색 로봇이이 검색을 할 때 중요도가 높은 것은 결국 웹 표준과 웹 접근성입니다.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이용하면 더욱 검색에 잘 걸리는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내가 생각하는 검색엔진 최적화란 - search engine optimization
기본적으로 스킨과 특성에서 이미 표준 코딩이 적용이 되어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검색 로봇에게 더욱 웹 표준을 지키는 블로그라는 것을 어필 하는 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안 사실이지만 구글에도 SEO 권고안이 있습니다.
하단 부에 강조하는 것은 역시 제가 말하고 싶어하는 부도덕한 SEO 업체에 대한 주의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 이글을 쓰면서 한번 읽어 보았는데 그대로 써나가도 전혀 문제가 없을 것 같아서 내용 변경없이 진행합니다.
사실 제 글에는 SEO 프로그램을 돌려보면 키워드의 심도나 나열 등이 그렇게 많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검색 등이 무리 없이 잘 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단 기존의 SEO라고 제시하는 업체의 SEO가 제대로 된 search engine optimization이 아니고 키워드 나열 최적화라는 것입니다.
제가 제시하는 검색엔진 최적화는 블로그의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를 강화 하는 방법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여기서 잠깐 위에서 잠시 본 문장과 매우 비슷한 문장이 나왔습니다.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
블로그의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
웹 표준을 블로그에 적용하기 -네이버 블로그도 가능하다?
-
소재목의 경우 볼드체 대신 <H2>소제목</H2> 형식을 유지 할 것
- 외부 링크의 연속은 <li></li> 안에 넣을 것
-
이미지에 alt 값 넣을 것
[alt 값은 검색 엔진은 그림의 설명이나 대체값으로 인식합니다 - 이미지의 이름 이외에도 검색 될 수 있는 특성을 넣을 수 있는 것입니다.]
위의 3가지만 충실히 지키셔도 검색엔진에서 매우 좋아하는 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4]의 내용을 적용하신 후에 사용을 하시면 됩니다.
TIP.
개인적으로 “카테고리 다른 글 보기” 플러그 인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이전 글 넣기” 플러그인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숫자를 제외한 모든 부분은 제가 제시하는 방법으로 쓴 글입니다. 제 글들은 우 클릭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스보기를 하십시오
'함일사-함께 일하는 사람들 > 함께일하는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블로거를 위한 대용량 보조 배터리 “BOB 8200” (8) | 2015.04.06 |
---|---|
네이버 블로그 만들기[2] - 네이버 블로그 '메뉴〮글 관리' 설정 (9) | 2015.04.05 |
블로그 운영 잘 하는 법 [번외 편 3] 웹 표준을 알면 블로그가 보인다. (64) | 2015.04.01 |
삼성 노트북 9 2015 Edition 리뷰 -달라진 라이프 스타일 (8) | 2015.03.28 |
페이스북 페이지(facebook page)를 만드는 법 (10) | 2015.03.27 |
어느 IT블로거의 블로그 마케팅 교육 준비 (12) | 2015.03.2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와... 저는 이제 블로그에 입문했는데,, 너무 어려운 것 같아요.
앞으로 자주 방문해서 배울게요.. ^^
감사합니다. 자주자주 들러주세요 ^^
와우~오늘도 한수 배웁니다^^ 감사해요~
2013년 대박 나도록 합시다!
아자아자 파이팅!!^^
네 감사합니다. ^^
요즘에는 웹표준이 기본인데 나쁜 습관이 들어 안지켜 진다는 ㅎㅎ
잘 읽고 반성하고 가요~
조금만 신경쓰면 네이버 블로그 안 부러울 수 있습니다.
웹표준에 맞춰야하는데^^:
잘보고갑니다. 멋진 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
고민은 하지만 사실 잘 못지키는것 중 하나입니다 ^^ 글내용도 요즘은 발행하고 나면 되돌아 볼 여유가 없어서^^ 블로그 운영에 가이드가 될만한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저랑 많이 비슷하시네요 ㅠ.ㅠ
마케팅으로 운영을 해드리는 곳은 상당히 효과가 좋은 방법입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도움되는 정보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수욜 홧팅하세요
즐거운 수요일 되십시오,,,
매번 이렇게 소중한 정보 정말 감사드려요!! ^^
도움이 되신다면야.... 감사합니다. ^^
천추님 덕에 얼마전부터 H2 태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에서는(제 스킨만 그런지도) H2태그만 쓰면 글씨가 터무니없이 크게 적용되어 css를 수정한 끝에 맘에 드는 사이즈와 색으로 사용중입니다.
링크에 li를 쓰면 점이 앞에 찍혀서 아직 쓰지 않고 있는데, 요것도 CSS를 통해 어떻게 조작이 가능한지 확인해봐야겠습니다^^;;
부제목에 대한 특성값이 css 에 들어 있기 때문에 넣으시면 되고요...
01. 일괄 작업
li{list-style:none}
를 상단에 넣으시면 됩니다.. 그럼 스타일 앞에 나오는 것들이 안보입니다. 단 문장 중간 중간에도 안보입니다.
02. 개별 작업
<ul style="list-style-type: disc; list-style:none "><li> 해당 리스트</li></ul>
처럼 li 스타일을 적용하지 않게 세팅하면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2번을 적용하여 상단에는 숫자 리스트가 보이고 하단 링크는 약간 뒤로 물러나 보입니다.
앗! 감사합니다!
일괄로 적용하여 써먹어야겠네요!!
진작 여쭤볼껄 그랬습니다 ㅎㅎ
천추님 글을 읽어서 대충 알고는 있었는데
실천이 잘안되네요 ㅡㅡㅋ
더 노력해야겠네요 ㅎㅎ
하하 감사합니다. ^^
전 딱히 행하고 있지 않죠 -ㅅ -.... 뭐 개인도메인으로 자체적인 블로그를 만들었다면 모르겠지만 전 역시 귀찮음의 달고 사나봐요 ㅠ.ㅠ
그렇지요 ...
제게 블로그 의뢰하시는 분들의 블로그는 그렇게 운영해드립니다. ^^
블로그 운영에 도움되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ㅎㅎ노을인 너무 어려워요.
운영법이 있군요.
잘 보고가요
블러그 운영시 적용하면 도움이 되겠네요
잘 알아 갑니다.^^
잘보고 갑니다..
행복한 한주 시작하세요 ^^*
웹 표준... 정말 중요하죠..
하지만 머리가 너무 아파서 ㅠㅠㅠ ㅋㅋ
항상 좋은 정보주셔서 감사합니다^^
웹표준 정말 중요하죠. 잘 보고 갑니다.
H2 태그는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HEADLINE 의 약자입니다. 제목이라는 것이지요!!!
쉬울것 같으면서도 어려운 블로그 운영 ㅎㅎ
덕분에 잘 보고갑니다
잘 배워갑니다, 세상에 쉬운 것은 없더라구요
공지사항
카테고리
태그목록
글 보관함
달력
링크
천추
폐기물 인테리어 철거 사다리차 전문가들이 모여 함께 일하는 사람들입니다.
LATEST FROM OUR BLOG
LATEST COMMENTS
BLOG VISITORS
Copyright © 2019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